3사 통신사들이 금년 전반기(1~6월) 동안 실적 때문에 치고 박고 싸우다가 7월 1일이 되자마자 태세전환을 했습니다. 이제 전반기도 끝났으니.. 실적압박에서 자유로워졌겠다~ 가입자당 매출도 올려야겠다~ 즉, 요금인상 하기에 최고의 시기가 된 것이죠! 호호 ♡
지난 6월에는 통신사들이 마지막 남은 실적을 영혼까지 끌어 모으려고 무릎꿇은 채로 간 쓸개 모두 줄 것 같은 모습이었는데 이제 당분간 그런거 없어 보입니다 ㅠ
[그림으로 비유하면 딱! 이거네요]
재밌는 점은, 3사 통신사 모두 동시다발적으로 요금을 인상시킨다는 것입니다 ㄷㄷㄷ
평소에는 사이가 많이 나쁜데 요금인상 시즌만 되면 왜이리 평화롭고 통일된 모습을 보여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_-;; (담합 아닌, 담합인 듯, 담합 같은 너~)
자~! 오늘은 7월의 통신 변화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벌써 새벽 2시가 되어가고 있고 저도 빨랑 퇴근해서 발닦고 자야하니 최대한 간략하게 정리해볼게요~!
1. 단물빠진 UHD셋톱박스
[SK와 KT의 UHD형 셋톱박스. 플래그쉽의 자리는 모두 UHD 셋톱박스가 차지하고 있죠]
통신사들이 2014년부터 보급에 힘쓰고 있는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기가급 인터넷, 그리고 UHD 셋톱박스죠!
그런데 UHD셋톱박스의 보급률을 어느정도 채웠는지 요금을 덜컥 올렸습니다. 3사 통신사 모두 일제히 기존요금에서 +1,100원이 됩니다! 후후후... 이 단결력이란... (백메가에는 이미 수정된 요금이 반영되어 있어요!)
하지만 억울해도 UHD 셋톱박스를 써야만 합니다 ㅠ 우리들은 UHD(4K) 급 화질을 감상하기 위한 용도로 UHD형 셋톱박스를 쓰는 게 아니라,
1) 온전한 1080P(FHD) 지원
2) 제대로된 스펙(성능)을 위해
UHD형 셋톱박스를 쓰는 것이기 때문이죠 ㅠ
2. 외면당한 1기가(1G)
오늘날의 인터넷은 크게 100메가 / 500메가 / 1000메가(1기가) <--- 이렇게 3가지로 나눠지죠~? 이 중에서 500메가 / 1기가급 2가지가 "기가급 인터넷"인데요~ 기가급 인터넷 전체 사용자의 약 80%가 500메가급을 사용할 정도로 1기가급 인기가 매우 떨어졌던 게 사실입니다. (가성비가 망 ;;;)
[참고글] 기가인터넷 거들떠보기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4710
그래서 통신사들은 1기가급 판매를 독려하기 위해 여러 프로모션들을 덕지덕지 끼워넣어왔는데요~ 네, 그렇습니다. 7월 부로 모두 없어졌습니다 ㄷㄷㄷ KT의 1기가급 독려 프로모션인 "리얼기가" 가 연장없이 종료되고요~ SKB(브로드밴드)의 "1기가급 추가할인"도 빠이빠이입니다~!
이제 우리 그냥... 100 ~ 500메가급으로 대동단결 합시다!
3. 비싼 TV상품 종용하기
3사 통신사에서 각각 중심이 되는 TV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SK : New스마트형 (약 164개 채널)
LG : TVG (약 136개 채널)
KT : OTV10 (약 210개 채널)
만약 특별한(?) 채널들을 원하는 게 아니라면, 위의 상품만으로도 차고 넘치는 채널수를 만끽할 수 있습죠~
그런데 통신사들은 위에보다 높은 등급의 TV상품의 판매를 종용하고 있어요. (떡고물 살짝 얹어서 말이죠!)
즉, 위 TV 상품보다 상위단계인
프라임형(SK), TVG14(LG), OTV12 (KT) 이상을 선택하시면
1) TV이용료가 더 오르는 대신
2) 셋톱박스에서 1,100원의 요금이 할인됩니다!!
무려 1,100원!!
1,100원!
천백원!
그렇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3사 통신사가 모두 똑같이 바뀌었네요. 마치 담합을 한...(웁웁!) 요금할인이라도 좀 팍팍 해줬으면 한번 써볼 맛이 날텐데, 스크루지 영감처럼 짭니다. 너무 짜요..ㅠ
4. 결론과 요약
월급 빼고 모든게 오른다는 명언이 있습니다. 통신요금 역시 마찬가지죠!
1) 그러나 UHD 셋톱박스를 포기하기에는 만족도의 저하가 너무 심합니다. 그런고로 우리는... 좀 더 지갑을 열 수 밖에 없습죠 ㅠ
2) 기가급 인터넷을 선택하시려면, 1기가급 보다는 500메가급을 아주-강력히-처절히 권유드립니다.
3) 상위등급의 TV상품에 프로모션이 있긴 하지만, 너무 코딱지(?)만한 수준이라 패스하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이번 7월도 아무쪼록 만수무강 하시길 바라나이다~~
그럼 저는 이만 퇴근하여 발닦고 자겠습니다~! 꾸벅! (--)(__)
스마트 셋톱박스와 UHD 셋톱박스 성능 차이가 많이 날까요?
비교 해보셨을까용? ㅋ
백메가 이소영입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오! SK의 BTV를 사용중이시군요+_+b
아마 현재 스마트 셋톱박스를 사용중이신 모양입니다.
물론 스마트 셋톱박스와 UHD 셋톱박스는 성능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답니다!
(UHD 셋톱박스의 성능이 월등히 좋습죠ㅎ.ㅎ)
SK는 다른 통신사에 비해 TV 품질이 좀 떨어지는 편이에요.
가장 큰 이유는 "리모컨 반응속도"입니다.
사실 TV 만족도는 리모컨이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느냐가 관건이라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SK의 리모컨 반응 속도는 통신 3사중에 가장 느립니다ㄷㄷ..
그러나 UHD셋톱박스로 변경되면서
스마트셋톱 박스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많이 보였구요~!
다른 통신사를 쫓아 갈 만큼 성능이 좋아진 것은 아니긴 하지만;
리모컨 반응속도 또한 개선이 많이 되었습니다.
조금 뒤쳐지는(?) 성능들은 핸드폰 결합을 통해
할인되는 요금들이 열심히 상쇄해주고 있지요ㅎ.ㅎ;
한가지 꼭 염두해두셔야 할 것은 UHD 셋톱박스로는
"구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에요.
호호.. 당연히 백메가에서는
실제 사용한 후 생생한(?) 리뷰를 올려드리고 있답니다+_+b
아래 링크가 바로 "스마트 셋톱박스"의 리뷰구요!
(리모컨 동작과 끊김 현상 때문에 말이 많았지요ㄷㄷ)
[참고글] 논란의 주인공! SK의 플래그쉽, BTV New스마트 리뷰!!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5975
UHD 셋톱박스는 현재가 3세대인데요.
스마트에서 -> UHD 셋톱으로 변경된 것만큼
눈부신(?) 발전은 그다지 없지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SK에서도 셋톱박스에 부족함을 느끼고
여러차례 업그레이드 했으나 실패한듯 보입니다ㄷㄷ
(세대교체가 3회나 되었으나 큰 변경은 없었거든요)
↓↓↓ 이 녀석(?)들이 바로 SK의 UHD 셋톱박스 입니당.
[참고글] SK BTV의 플래그쉽 셋톱박스가 변경되었습니다! (BHX-UH200)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6308&
[참고글] 벌써 3차례 변경된 SK의 UHD 셋톱박스 리뷰! (BKO-UH400)
=>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8228
아마 한번 쭉~ 눈으로 즐겨(?)보시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연히 아실 수 있을거에요~!
헤헷,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나요~?
혹시라도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말씀해주시구요~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목요일 되시기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