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김사라님의 글

꼭 읽어보기 우리집 인터넷 속도, 제대로 측정하기 (제발 fast.com에서 측정하지 마세요!!)

회원님의 사진
  • 김사라
  • 댓글: 54
  • 조회: 274,014

2년 전, 한창 이슈가 되었던 모 유튜버의 기가 인터넷 품질 논란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비싼 돈 주고 가입한 10기가 인터넷이 → 막상 1% 수준인 0.1기가로 측정되어 충격을 주었지요.


이후 전국 각지의 사용자들이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했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충격적이라 집집마다 울부짖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



우에에엥.jpg

[이 사건은 평소부터 이미지가 좋지 않았던 통신사에 대한 불신을 영혼까지 끌어올렸지요..]



그래도 다행입니다.

한 유튜버가 쏘아올린 작은(?) 공 덕분에, 인터넷 속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했거든요?😅

하지만 여러분이 측정한 인터넷 속도가 사실 제대로 된 측정값이 아닐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생각보다 섬세하고 복잡한 아이거든요ㅎㅎ;;




1. 도대체 어디서 속도를 측정하십니까?

인터넷 속도 측정은 벤치비 · FAST · Speedtest 이렇게 3가지 플랫폼이 널리 활용되고요~

우리집 인터넷과 ↔ 속도 측정 플랫폼(서버)이 통신하는 속도를 측정한 결과 값이 = 바로 인터넷 속도입니다.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인터넷 속도측정 플랫폼).jpg

[인터넷 속도 측정도 결국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일 뿐이니, 위치에 따라 상대적입니다]



그런데 만약.. 속도 측정 플랫폼이 우리집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혹은.. 서버 상태가 혼잡하다면?

다소 왜곡된 측정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겠지요...🤢


기본적으로 국내 인터넷 통신사의 해외망 품질은 슬플 정도로 처참하답니다 ^^; 

다행히 KT는 국내 ↔ 해외를 잇는 인터넷 인프라(=육양 케이블)가 잘 갖추어져 예외적이지만, 그 이외의 통신사들은 사정이 정말 나쁘거든요.


2019년_국제회선 해저광케이블 현황.jpg

[특히 SK는 자체 지분을 가진 육양 케이블이 아예 없습니다..

2024년에 SK가 참여한 망이 개통될 예정이지만, 이조차도 3년이나 지연되었어요 ㅎㅎ]



쉽게 말해 해외에 위치한 속도 측정 플랫폼을 이용하신다면 : 

일상적인 인터넷 속도와 사뭇 다른 결과가 도출됩니다. 

심지어 몇몇 플랫폼은 -국내에 서버를 두었다 하나- 실제로는 해외 서버를 경유하기도 하죠..😂


대표적인 곳이 바로 FAST(fast.com)입니다.

단순하고 직관적이라 사용이 매우 편하고, 유명 IT회사인 넷플릭스(Netflix)에서 직접 운영하기에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으나, 넷플릭스는 국내에 다이렉트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아 속도 측정 시에도 해외망 통신을 기본으로 합니다.


다행히 LG유플러스는 넷플릭스와 직접 계약된 캐시서버(cache server)가 국내에 존재하니 전혀 문제없고, KT인터넷은 해외망 자체가 잘 갖춰있어 측정 왜곡이 심각한 수준까지는 아닙니다. (물론 객관적/평균적 인터넷 속도라 보기 애매합니다).

문제는 SK인터넷이지요. SK의 해외망 연결 품질은 가장 논란이 많고, 불안하며, 개선 속도가.. 더딥니다..🐌


최선은 다했답니다.jpg

[SK는 항상 최선을 다했다 말씀하십니다.

이제 행동으로 보여주세요]



게다가 SK는 넷플릭스와 오랜기간 이어진 망 사용료 분쟁으로 최악의 관계를 달리고 있으며, 

이 때문에 여태껏 국내 캐시서버를 도입하지 않았고, 심지어 셋톱박스 내에 넷플릭스 앱(app) 조차도 없습니다. 

마치 협상의 우위를 차지하려고 소비자를 볼모로 잡고 있는 건 아닐까 의심되기까지 하죠.


----


다시금 강조하지만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는 상대적입니다.

그러므로 경유지 없이 직항(?)이어야 하고, 일상적인 통신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속도 측정 플랫폼 중 국내에 서버를 두고,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운영된 곳을 기준으로 두어야만 합니다.

제가 가장 추천하는 플랫폼은 벤치비입니다.


※ 백메가는 벤치비에게 소정의 광고료를 받은 적이 없습니다. 제발 좀 주세요 ※



다만 1️⃣ 이론상의(?) 최대 속도를 측정하고 싶거나, 2️⃣ 통신사가 직접 보증(?)하는 속도측정 이력을 차곡차곡 쌓아, 향후 서비스 문제 시 증거자료로 활용하기 원하신다면? = 각각의 통신사가 직접 제공하는 속도측정 도구를 이용해야 합니다.


구분벤치비KTLG
SK
링크바로가기바로가기
바로가기
바로가기
작동방식HTML5
(앱 설치 불필요)
앱 설치 필요앱 설치 필요
앱 설치 필요

[통신사가 제공하는 속도측정 도구는 로그인이 필요하고 + 별도 앱(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25.04.08 :  현재 벤치비 사이트 접속이 원활하지 않으니 

당분간은 NIA나 cloudeflare를 이용해 주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2. 무선 인터넷으로 측정한 결과는 부정확합니다

인터넷 연결 방식은 유선 vs 무선으로 나뉩니다.

UTP케이블(=랜선)을 컴퓨터에 체결한 것이 유선 인터넷이고,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 선 없이 연결하면 무선 인터넷(=WIFI)이지요?


당연한 이야기지만 무선 인터넷 속도는 유선에 비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굳이 패킷 오버헤드 · 반이중 · 빔포밍 · 회절성 · 전자기파 감쇄 등의 이론적 개념을 설명 드리지 않아도, 무선 안정성과 속도가 유선보다 떨어진다는 건 감각적으로 이해하실 겁니다!


그래서 인터넷 속도 측정은 유선으로 하는 게 가장 좋고요~ 어쩔 수 없이 무선으로 측정해야 한다면 아래 2가지만 유의해주세요.



✔️ 5Ghz 주파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집이나 밖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잡을 때, 같은 네트워크가 2가지 신호로 나뉘어진 것을 더러 목격하셨지요?



여러 주파수로 나뉜 SSID.jpg

[딱 봐도 같은 네트워크(=공유기)인데, 2가지 신호로 나뉘곤 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공유기들은 2.4GHz와 5GHz 신호를 동시에 발산하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를 주파수라 칭하는데 둘의 성격이 아예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2.4GHz는 파장이 깁니다. 덕분에 회절 능력이 좋아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신호도 멀리 갑니다. 하지만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적고,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많아서 신호 간섭이 심한 편이에요.


전자레인지 속 음식시점.jpg

[각종 블루투스 기기들.. 마우스 무선 동글.. 심지어 전자레인지도 2.4GHz 대역 주파수를 발산합니다]



5GHz는 딱 정반대입니다!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많고 간섭을 적게 받지만, (즉, 인터넷 속도는 더 빠릅니다!) 거리가 멀수록.. 장애물이 많을수록 신호 세기가 급격히 떨어집니다.

5GHz는 힘이 장사라 무거운 것도 척척 잘 드는데 민첩성이 떨어지고,
2.4GHz는 힘은 약하지만 민첩성이 뛰어나다 볼 수 있죠 😁

한편 우리가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한다는 것은 "우리 집 인터넷 최대 속도가 얼마나 나오냐?" 를 보려는 것이니, 더 빠른 속도를 보증하는 5GHz 주파수로 접속함이 맞겠지요?




✔️ 가까이서 측정해야 합니다

어떤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더라도.. 

1️⃣거리가 멀 수록, 2️⃣장애물이 많을 수록 = 속도는 점점 떨어집니다.

그러니 무선으로 속도를 측정할 때에는 무선 인터넷에 연결한 단말기(노트북, 스마트폰)와 공유기를 바~짝 땡겨 붙여서 측정하는 것이 측정 오차를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Untitled-4.jpg

[단말기 ↔ 공유기를 요로코롬 딱 붙여서 측정해주세요]




✔️ 벤치비 대신 다른 속도측정 플랫폼을 이용해야 합니다

벤치비가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을 지원하고 있기는 하지만, 버젼 업데이트가 된지 천만년이 훨씬 지났습니다. 

2021년이 마지막 업데이트인데, 이러다가 모래처럼 바스러질 것 같아요⌛

게다가 아이폰에서는 아예 지원이 중단되었습니다..?😧


해서, 최신 안드로이드iOS 운영체제에서 사용할만한 속도측정 도구는?

그나마 NIA (과기부 산하 공공기관에서 운용) 입니다만

이 또한 앱을 다운로드 받아야 된다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결론 : 패킷 오버헤드 · 반이중 · 빔포밍 · 회절성 · 전자기파 감쇄 · 레거시 앱 · 다운로드 등의 문제로, 무선 속도를 100%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곳이 없으니..;;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속도 측정은, 권유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





3. 공유기를 너무 믿지 마십시오

집에서 기가급 인터넷을 쓰는데, 우리집 공유기가 고조선 시절에 구매한 제품이다!? → 당연히 인터넷 속도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수압이 좋더라도, 수도꼭지 지름이 좁으면 물이 콸콸콸 나오지 못하겠지요? 😅

심장 펌핑능력이 좋아도, 동맥에 콜레스테롤이 가득하다면 동맥경화에 걸리듯 말입니다...


​공유기는 서버 -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오작교 역할을 수행하는데,

공유기 하드웨어 스펙이 높을 수록 → 데이터 처리 능력이 우수할 것이고 → 이는 인터넷 품질과 속도를 좌우하게 됩니다.



EFM Networks 엔트리 vs 플래그쉽 유무선 공유기 차이.jpg

[비슷한 시기, 동일한 제조사에서 출시한 공유기인데도.. 가격 차이는 현기증 날 정도입니다. 괜히 그러지는 않겠죠?]



심지어 공유기 전원 어댑터가 노후되어, 인터넷 속도가 저하되는 뜬금없는 일도 꽤 흔하답니다 ^^;

안정적인 전기 공급은 = 전자제품의 성능과 수명을 좌우하거든요?


그런고로 보유하고 계신 공유기 스펙이 부족하거나, 구매하신 지 오래된 제품이라면?

공유기를 네트워크에서 배제하고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하시는 게 정확합니다.




4. 실제로 측정해보았습니다

거듭 반복하지만,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는 상대적입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 간의 거리 · 서버 상황 · 기타 여러 변수가 게걸스럽게 버무려진 결과지요 😁

저희 집에는 KT 500메가급 인터넷이, 가장 진보된 FTTH(ONT) 방식으로 들어오는데, 그 측정 결과가 어찌 나왔을까요?


구분다운로드 /Mbps업로드 /Mbps지연시간(ping) /ms
벤치비4644913
Speedtest
(kdatacenter 서버)
3733684
Speedtest
(Podryad 서버)
7080132
FAST20017038
통신사 속도측정 도구4964982


극심한 숫자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심지어 동일한 속도 측정 플랫폼이라 해도, 어느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에 따라서도 편차가 존재합니다.


위의 측정 데이터는 데스크탑(PC) 기반에서 유선 인터넷으로 측정한 값이고요~

무선 인터넷으로 측정하신다면 지연시간이 3~4배 가량 증가하게 됩니다.




5. 요약하자면

제대로 된 인터넷 속도 측정을 원하시나요? 아래 4가지 조건을 충족해 주셔요!


1️⃣ 유선 인터넷

2️⃣ 데스크탑 컴퓨터

3️⃣ 국내에 서버를 둔 속도 측정 플랫폼

4️⃣ 최대한 공유기가 배제된 상태



그런데 만약 공유기도 최신형이고, 컴퓨터 스펙도 후덜덜하고, 비싼 기가급 인터넷을 사용중인데도 → 막 속도가 처참할 정도로 좋지 않다!? 

그럼 원천 네트워크 상에 무언가 문제가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

이 때에는 백메가로 문의게시판에 도움을 요청해주시겠어요? 동료들과 머리를 맞대어 문제 해결을 함께 고민해보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뵈어요.


20230328_112032_809.jpg

전체 댓글 54
  • 회원님의 사진 금딩
    어쩐지 저도 fast.com으로 측정했을 때 속도가 이상하게 낮더라고요;; 
    혹시 이게 기가 인터넷인데도 속도가 안 나오는 원인일 수도 있을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금딩안녕하세요~! 😊 금딩님~!
    백메가 김사라 입니다 ㅎㅎ

    오 맞습니다!
    본문 꿀팁 글에 말씀드린대로
    'fast.com'의 경우 넷플릭스 서버를 경유하기 때문에
    통신사에 따라 속도가 왜곡해서 측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KT나 SK의 경우 해외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속도가 실제보다 훨씬 낮게 나올 수 있어요...

    이럴 때는 벤치비나 NIA 같은 국내 서버 기반의
    속도 측정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게 정확합니다!ㅎㅎ

    혹시 현재 사용 중이신 인터넷 통신사가 어디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회원님의 사진 금딩
    @김사라네 SK를 쓰고 있는데 그래서 그런 거군요
    그럼 벤치비로 다시 한번 측정해봐야겠네요! 
    근데 만약 벤치비로도 속도가 너무 낮게 나오면 이건 무슨 문제일까요?
    문제가 있으면 더 체크해볼 것들이 있을까 해서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금딩오 맞습니다~! 🥹
    SK는 특히나 해외망 품질이 좋지 않습니다..

    2025년에 SJC2 해외 케이블 망을 개통할 예정이기는 하나,
    지금까지 몇년 동안 개통이 밀려왔던 터라 ㅎㅎ
    살짝 기대가 안되긴 합니다 🤷

    벤치비로 한번 테스트해보시면
    보다 정확한 국내망 속도를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만약 벤치비에서도 속도가 낮게 나온다면....
    몇 가지 점검해보실 사항이 있습니다~! 🤔

    ✅ 와이파이 무선 신호로 측정하신 것인지 / 유선 연결로 측정하신 것인지 여부
    ✅ 속도 측정 중 다른 기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진 않은지

    공유기의 품질이나 랜선의 규격에 따라서도
    속도가 저하될 수도 있거든요!

    오늘 속도 체크해보시고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