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궁금한 점 몇가지 질문하기에 앞서, 현재 상황 말씀드릴게요.
25년 2월 23일에 결혼하고 혼인신고는 하지 않은 신혼부부이고, 당분간 혼인신고는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25년 5월 1일에 24평 신혼집으로 이사하는데, 주소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삼어로 ** 우방신세계타운아파트 ***동입니다.
현재 자취방에서 25년 8월 7일에 약정이 만기되는 LG U+ 인터넷 다이렉트_와이파이기본_100M를 사용중이고, 아내는 25년 9월 12일에 선택약정이 만기되는 LG U+ 5G 라이트+ 핸드폰 요금제를 사용중입니다. 약정 기간이 끝난 뒤에는 핸드폰 통신사를 유지할 지는 불확실합니다.
저는 SK세븐모바일에서 LTE유심(15GB+/100분) 요금제를 특별한 약정없이 사용중입니다.
인터넷은 영상시청이나 컴퓨터&가전기기 연결 등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인터넷이 버벅거리거나 끊기는 걸 싫어하고, 가전기기 연결도 많고 두어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어서 500Mbps+공유기로 생각중입니다.
양가 부모님 인터넷과 핸드폰 통신사와는 결합을 고려하지 않고, 저희 부부 내에서만 좋은 조건으로 인터넷+TV 결합상품을 찾으려고 합니다.
이제 궁금한 점입니다!
1. 해당 주소에 LG U+나 SK브로드밴드 인터넷이 대칭형인가요? 아니라면, 해당주소에 대칭형 인터넷이 가능한 통신사는 무엇인가요? 인터넷이 안정적이고 품질이 좋았으면 합니다.
2. 500Mbps 인터넷과 기가와이파이공유기 + 180~200가지 채널이 나오는 기본형 IPTV를 원하는데, 대칭형인 통신사 중 가장 유리한 요금제와 현금 사은품은 어떻게 될까요?
3. 나중에 핸드폰 요금과 결합 중에 핸드폰 약정이 끝나 통신사를 바꾸면, 결합 할인되고 있던 금액만큼 요금이 올라가나요?
4. 만기가 25년 8월 7일인 LG U+ 인터넷 100메가 요금제를 이번에 업그레이드하며 새로 약정한다면, 위약금을 내지 않아도 되나요?
5. 신혼요금제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신혼요금제가 무조건 유리할까요?
6. 혹시 2년 후에 다시 이사갈 가능성도 있는데, 이 때는 이전설치만 하면 되나요? 어떤 사정에 의해 해지를 하게 되어 2년 뒤 위약금을 낸다고 가정하면, 3년 약정 후 해지하는 것과 2년만 약정하는 것 중 어떤 게 나을까요?
이외에도 혹시 제가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