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 많이 접한 용어지요?
일명 "사물인터넷"입니다.
사물인터넷은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개념이에요.
하지만 가슴으로 와닿지는 않죠? (무슨 말인지;;)
일례로, 얼마전의 TV CF가 떠오릅니다.
CF의 주인공은 집안 가스밸브를 잠그고 나온것인지? 불안해 하다가, 갑자기 "불안할 땐 IoT 가스락!" 을 (어색하게) 외치며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가스밸브를 원격으로 잠급니다ㅎㅎ
사물인터넷의 좋은 예제지요!
이미 IoT는 우리 생활 속에 많이 침투해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세를 놓칠세라 3사 메이저 통신사(SK, KT, LG)도 IoT 상품을 시판하였고요, 판매 확대를 위해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인터넷 + IoT 결합상품(?)도 만들었지요;;
(물론 결합이라 쓰고 노예제도라 부릅니다^^;)
통신사들이 판매중인 사물인터넷은 열림감지센서, 전기스위치, 에너지 미터, 가스락, 웹캠(CCTV) 등등 정~말 다양합니다ㅎㅎ;;
하지만 극단적으로 말해 이 상품들은 무의미합니다.
왜냐하면 통신사에서 임대하지 않아도 충분한 대안들이 존재할 뿐더러..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ㅠ
이번 시간에는 사물인터넷 중 가장 많은 수요를 가진 CCTV 상품에 대해 짚어보면서, 통신사 사물인터넷 상품의 불필요성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3사 통신사들의 웹캠(CCTV)
웹캠은 말 그대로 "언제든지 인터넷을 통해 열람할 수 있는 CCTV" 입니다.
즉, 스마트폰이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감시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게 큰 매력입니다.
생긴 것은 제법 이쁘지요?
하지만 가격은 착하지 않습니다 ㅠ
표로 정리해보니 참 간단합니다.
참고로 백메가에서는 IoT 상품을 판매하지 않습니다.
물론 판매 권한이 있긴 하지만.. 통신사들의 IoT 상품이 너무 비싸게 출시되었을 뿐더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대체제가 많기 때문이죠.
1) 먼저 요금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통신사들이 판매하는 웹캠 단말기 값을 SK로 예를 들면, 3년 동안 23만원에 육박하는 요금으로 사용하는 셈입니다.
그리고 약정 중간에 해지할 경우에는 위약금 선물(폭탄)이 날아오는 문제도 있죠!
시중에는 이미 수많은 웹캠 상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즉, 약정으로 계약하는 게 아닌 "한번에 납부하여" 구매할 수 있는 제품들이 널리고 널린 셈이죠!
그 중에서도.....
4000년 중국의 역사!
대륙의 실수 샤오미!
샤오미의 자회사인 샤오이에서 만든!
스마트 웹캠!!
...이라는 압도적인 제품이 있습니다. 너무 수식어가 길었나요;;
저렴하고, 설치하기 쉽고, 다양한 기능까지 갖췄을 뿐더러 한글을 100% 지원하고 있기에 엄청난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 정식 출시한 샤오이 스마트 웹캠을 단돈 72,000원 전후로 만날 수 있어요.
무려.. 배송비까지 포함해서 말이죠.
최소 23만 원대 통신사 상품 vs 중국의 기상 7만 원대와 비교하면 가격 차이가 너무 크지요?
2) 두번째는 "임대방식"이라는 겁니다. (듣고있나 LG??)
물론 SK와 KT는 한번에 납부하여 구매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지만 LG의 경우에는 임대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어요. 즉, 약정 끝나고 해지하면 -> 장비 반납하셔야 합니다.
요약하자면 통신사의 웹캠 상품을 이용할 이유가 없는 셈이에요.
최근 백메가를 통해 CCTV(웹캠) 상품을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은지라, 훌륭한 대체제인 "스마트 웹캠" 상품의 구매부터 -> 설치까지 모든 것을 낱낱히 파헤쳐 드리겠습니다^^
(사진이 많지만...지루하지 않을 거예요~~^.^)
1. 샤오이를 구매하자
특정 판매업체를 거론하면 "백메가가 협찬" 받은 것 마냥 보일 것이 우려되어 다나와(Danawa)의 링크를 올립니다 ㅎㅎㅎ
- 다나와 링크 : http://prod.danawa.com/info/?pcode=3521750
이 중에서 해외직구 제품 말고요~
"한국 정식출시" 제품을 골라주세요.
물론 직구가 더 저렴하긴 하나 1년 A/S, 어댑터 문제, 한국어 패키지(한국어 앱)이 지원되지 않아서 많이 불편합니다.
중국어 어렵다 해~
한글 좋다 해~
그리고 통장 혹은 카드잔고가 약 7.2만원 정도 있으면 충분합니다!
2. 스마트 웹캠 살펴보기
[포장을 뜯어내기 전 샤방샤방(?)한 모습]
패키지를 벗기면 웹캠(카메라) + 어댑터(220V 전원케이블) + USB 케이블 + 설명서가 들어 있습니다!
저렴하다 무시하지 마세요.
생각보다 잘 생겼습니다!ㅎㅎ
심플하고 깔끔한 제품을 좋아하는 1인으로써 아주 만족스러운 외형이었습니다.
참고로 위 카메라 부분과 / 아래 거치대가 분리됩니다.
[뒤태입니다~ 역시나 심플하네요~]
아참! 뒷면엔 "SD카드"를 꽂을 수 있는 곳 그리고 "Reset" 버튼이 있습니다!
(사진상으로 Reset 버튼이 어둡게 보이지 않아 네모박스로 표시해 뒀어용~ㅎㅎ)
※ SD카드는 마이크로 SD카드로 준비하시면 되고요~
샤오미 스마트 웹캠은 32GB까지만 지원합니다! 64GB부터는 지원하지 않으니 32GB 이하로 구매하세요!
이 부분은 좀 아쉽습니다 ㅠㅜ
하지만 스마트폰에 연동해서 보는 게 대부분일 것이기에 별 의미는 없습니다.
바닥을 살펴보니 실리콘이 부착되어 있고요~ 이 부분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해서 벽면에 붙일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인 모양새를 요약하자면, 잘생긴 게 최고야! 짜릿해! 늘 새로워! 입니다.
3. 제품 스펙
3사 통신사의 시판 제품과 스펙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하나 큰 차이를 꼬집자면 -> 원격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에요. 즉, 헤드(머리) 부분의 회전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광각렌즈를 이용하고 있는지라 시야각은 충분하고요~ 스마트폰 앱에서 좌~우로 스크롤하면서 불편함을 느껴본 적은 없습니다.
4. 설치하기
설치 방법을 간략히 요약하면
=> "전원연결 -> APP(앱)다운 -> 실행 후 연결 (와이파이)" 끝!
아주 심플합니다.
설명서만 보면 -> 초등학생도 -> 10분 안에 마스터 가능한 수준입니다.
1) 어플리케이션 설치
웹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APP)을 필히 설치해야 합니다!
생각보다 간단해요~ 사용설명서에 있는 "사오이 어플 QR코드"를 핸드폰을 찍으면?!
=> 어플 다운로드로 이어집니다! (태블릿 PC에도 연결이 가능해용~)
QR코드를 찍었더니 “다운로드” 화면이 촥!
-> 다운로드를 터치터치~ 했더니 어플 다운로드 창으로 전환 됨!
2) 제품 연결
웹캠 뒷면 카메라 아래쪽에 연결하시면 돼요~!
전원을 연결하는 순간 전면에 LED램프가 깜빡입니다!
궁금하셨죠? 이렇게 주황색 불이 들어와 깜빡 깜빡이네요~ㅎㅎ
(혹시나..! LED가 깜빡이지 않는다면 뒷면의 Reset 버튼을 5초간 눌러주세용~)
3) 어플리케이션 실행하기!
APP을 다운 받은 후 실행했더니 뙇!
지역설정 -> 로그인 화면으로 전환 되었습니다!
로그인 방식은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계정 연결 방식이라 따로 가입할 필요가 없어 정말 편했습니당! 회원가입.. 너무 귀찮거든요ㅎㅎ
카카오톡으로 연결했더니 계정 로그인에 대한 동의만 끝내면?!
=> 로그인 완료!
4) 와이파이 연결하기
① 로그인 후 "여기를 클릭하라!" 는 멘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 화살표가 지정하는 "+" 를 터치하면 웹캠 설정으로 이어집니다~!
-> 웹캠 설정으로 전환되면 웹캠이 "연결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라는 멘트를 날립(?)니다!
-> 아리따운(?) 여성분의 음성안내를 들으셨다면 -> "음성안내를 들었습니다" 터치터치!
② 음성안내 터치 후 -> 와이파이 연결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보안상의 문제로 비밀번호가 걸려있지 않은 와이파이는 연결할 수 없어요!)
-> 비밀 번호 입력 후 "연결" 터치! -> 핸드폰 화면에 뜬 QR코드를 웹캠으로 스캔합니다!
③ 웹캠이 QR코드를 인식하면 와이파이 연결에 성공합니다! 박수~!!
④ 와이파이 연결에 성공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는데요~
손가락 모양의 화면을 터치하면 -> 웹캠이 촬영하고 있는 현장(?)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가동을 해보자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창틀에 툭~]
드디어!!! 연결 된 카메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감동의 순간! (혼자서 박수치고...)
웹캠을 연결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도 안 걸렸어용! 설치 방법이 아주 간단해서 어려움 없이 누구나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말에 친구네 사무실이 빈다고 하길래... 냉큼 달려갔습니다..히힛.. 컵은...따로 가져가서 들고 흔들고 찍었다는..(뼛속까지 백메가))
생각보다 화질도 좋고, 움직임에 두둠칫 끊기는 현상은 없었습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와이파이 공유기가 멀어지면 영상의 끊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하더군요!)
P.S
거리가 있다면 긴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신, 선을 따로 구매하셔야겠죠?!
[와우! 넓은 화면으로도 전환할 수 있습니다~!]
6. 다양한 기능
1) HD해상도의 F2.0 조리개 + 111도의 광각렌즈
F2.0 조리개 덕분에 흐린 날에도 촬영이 가능합니다~!
(근데 집안에 설치하면 흐린날과 관계가 있을지..ㅎㅎ)
그리고 광각렌즈가 장착되어 있어 넓은 방안을 살펴볼 수 있으며 확대도 가능하지요!
참고로 자이로스코프 센서 덕분에 스마트폰의 움직임을 인식해 방안의 전경을 카메라가 움직이며 보여주는 것처럼 느끼게 해줍니당~!
(양 옆을 스윽 움직여 볼 수 있죠!)
※ 자이로스코프 센서란?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요즘 많이 떠오르는 증강현실(VR)에 대해 알고계시죠?!
360도 회전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 자이로스코프 센서 덕분!
2) 적외선 카메라!
어두운 밤에도 영상을 볼 수 있어요!
3) 양방향 음성 통화 서비스
웹캠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와 스피커로 양방향 대화 가능!
화면의 마이크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대화가 가능하죠!
(반려견을 위해 웹캠을 설치하시는 분들은 반려견의 이름을 부르기도 한다는..! 그...그런데 알아들을 수 있니..?)
4) 움직임 감지 센터 탑재!
개체의 움직임에 따라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움직임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영상이 녹화되고 설정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무단침입한 강도나 도둑으로 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겠군요!)
5) 실시간 캡쳐 녹화가능!
실시간 영상을 캡쳐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웹캠안에 들어가있는 마이크로 SD카드 슬롯을 통해서도 자체 녹화가 가능하죠!
7. 아쉬운 점
1) 전원
전원을 상시 제공해야하는 부분 때문에 전원이 있는 부근에 설치를 해야 한다는 점! (이는 통신사 제품들도 마찬가지죠)
2) 부착
벽면에 부착하는 경우 아주 끈끈한 녀석의 접착이 아니라면 언젠가 톡! 하고 떨어져 버릴 수 있다는 점! 선반이나 테이블 위에 올려두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ㅠ
3) 회전과 화질!
샤오이 웹캠은 자동 회전이 불가능합니다ㅠ
고정된 방향으로만 볼 수 있죠..(그나마 광각때문에 시야각이 넓어용~)
그리고 제가 IPTV의 Full HD와 UHD 화질에 익숙해서인지 720P 화질을 제공하는 부분이 아쉬웠습니다ㅠ
헌데! 샤오미 스마트 홈카메라 2세대가 출시될 예정이라 이를 기대해도 좋을 것 같네요!
2세대는 제가 아쉬워 했던 720P 화질이 -> 1080P Full HD화질을 지원하게 된다는 사실!
(이 외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예정! 출시일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ㅠ)
[2022-03-17 내용 추가]
새로운 웹캠이 등장했습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웹캠(MJSXJ09CM)"으로 추천드려요!
-참고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3800341&keyword=MJSXJ09CM&cate=11427546
1) 정식 수입 제품이며 국내 A/S 가능
2) 좌우 360도 회전, 상하 108도 회전 가능!
3) 가격은 구형에 비해 더 저렴합니다.
4) 2K급 해상도 지원(2304 X 1296)
통신사들을 경계하다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통신사들이 판매중인 사물인터넷 상품이 속 빈 강정이라는 것을 짚어내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IoT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웹캠(CCTV) 상품을 일례로 소개한 것이지요!
짧고 굵게(?) 요약하면,
1) 굳이 3년 약정 + 비싼 요금과 단말기 대금이 포함된 통신사 제품을 선택할 필요 없이
2) 저렴하고 가성비 좋은 웹캠을 구매하는 게 옳습니다.
3) 물론 임대방식이 아니기에 "내 소유"가 되는 장점까지 구비했죠.
이런 점은 다른 사물인터넷 상품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간단히 짚어보면,
- 열림감지센서 :
여러 창문 + 여러 개의 문에 설치를 해야 효용성이 있습니다, 그냥 한번에 납부하시고 제품을 구매하는 게 좋아요.
- 에너지 미터 :
따로 전기설비 공사가 필요합니다, 게다가 최근 구축된 아파트들은 월패드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죠.
- 가스락 : 도시가스공사에서 공급하는 7~8만원대의 자동 차단장치를 설치하면 그만입니다.
원격으로 잠궈야 할 의미가 없습니다. (최신 아파트들은 월패드에서 제어되지요)
- 웹캠 : 오늘 포스팅에서 신랄(?)하게 비판했지요~! ㅎㅎ
- IoT 플러그 : 가정 내에 돼지코(전기코드)가 수십 개이기 때문에... 1~2개 임대하는 건 아무런 의미 없습니다.
이 정도가 되겠네요 ㅎㅎㅎ;;
마무리
IoT의 대중화는 충분히 반길 일입니다.
멀지 않은 미래, 우리들의 삶은 지금보다 더욱 편리하고 심플해질 것입니다.
가전제품 뿐만이 아니라 미처 상상도 못했던 사소한 것들조차 온라인에 연결되겠지요~?
(IoT 팬티가 나올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오늘날 통신사들이 IoT를 접근하는 방식은 "수익적인 측면"에 너무 매몰되어 있는 게 사실입니다.
때때로 이런 점들이 대중화의 장애물이 되기도 하잖습니까? 그게 우려스럽네요^^;
생각보다 긴 글이었을 텐데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에 다시 만나는 그날을(?) 기약하며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뿅!!!!
[내용 변경사항]
1) 2018년 10월 18일 작성
-SK와 LG CCTV 요금 변경으로 수정 / SK 안심캠 9,900원 -> 11,000원으로 상승.
-LG 맘카 청약불가 -> IoT패키지 요금제 사용으로 변경됨.
-SK 안심캠 기존에 타사 인터넷 호환 불가 -> 현재 타사 인터넷 사용가능
가게라서 샤오미 같은 제품을 구매하는 것보다 전문 업체로 하는 게 관리하기 좋을 것 같아서요.
윗 글 보니 백메가에서 CCTV 가입이 되는거면 저도 상담 받고 싶습니다.
인터넷은 기본 요금제면 되는데 CCTV랑 인터넷 결합도 할 수 있을까요? TV나 전화는 없어도 됩니다.
이렇게 만나 뵙게 되어 영광입니다🤗
가게에서 사용할 인터넷과 CCTV 2대가 필요한 것이지요~?!
가게 외부, 내부에 각 1대씩 둘 용도라면
개인적으로 구매해서 직접 관리하는 것보다
백메가 통해 CCTV를 함께 가입하는 게 가능합니다만
인터넷 통신사를 어디로 선택하는 지에 따라 CCTV 업체도 결정되기에
통신사 결정이 첫번째입니다🧡
하여, 몇 가지 질문 먼저 드리려고 해요!
가게에서 사용할 통신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쇼콜라퐁당님 상황을 파악해야 하거든요!
질문1) 쇼콜라퐁당님 또는 직계 가족분께서
따로 쓰시는 인터넷이 있다면 통신사를 알려주세요.
인터넷끼리 결합해 "패밀리 할인"을 받는 길이 있거든요!
[참고글] 알면 득이 되는 인터넷끼리 결합 (일명 패밀리 제도)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25468
링크 내용을 읽어보시면 패밀리 할인이 무엇인지 빠르게 이해되실 거예요😆
질문2) 가족(직계)분들과 쇼콜라퐁당님께서 사용하시는 휴대폰 통신사와 요금제 명칭
또는 알뜰폰이라면 사업자명과 요금제 명칭을 알려주세요.
인터넷과 휴대폰을 결합하면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기에 휴대폰 정보 확인은 필수입니다.
*예시답변: 본인 KT 데이터ON 비디오 플러스 / 가족 리브모바일 LTE 무제한 11GB+(LGU+망)
=> 예시와 같이 상세히 말씀해 주세요.
혹시나 따로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에 이미 휴대폰을 결합해 두셨다면
해당 휴대폰 정보는 말씀해 주지 않으셔도 됩니다.
두 장소 인터넷에 휴대폰 1회선을 중복 결합할 수 없거든요😥💦
질문3) 가게 주소가 필요합니다!
주소를 여쭙는 이유는 어떤 인터넷 망이 지원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죠!
인터넷 망은 대칭, 비대칭 2가지가 있는데
새로 가입하는 통신사가 비대칭형으로 지원된다면 인터넷 속도 느림, 끊김 문제로
인터넷을 사용하실 때마다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입니다.
[참고글] 통신사 꼼수에 속고 계셨습니다 : 대칭형 vs 비대칭형 (ver2.0)
https://www.100mb.kr/bbs/board.php?bo_table=information&wr_id=11162
5분만 내주시어 링크의 내용을 꼭 읽어주세요🙌
주소는 지역명, 번지수, 건물명, 상가라면 호실까지 모두 필요하고요~
확인 후 빠르게 블라인드 처리해 드리니 개인정보 노출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기까지 총 3가지 질문이에요.
댓글 남겨주시면 어떻게 정리하면 될지 촥촥 설계해 드리겠습니다🙇♀️
집에서는 kt인터넷이 설치되어 있고..가족 폰 다 결합되어 있습니다.
그럼 결합할 폰이 없으니 패밀리로 가면되나요?
가게 인터넷은 3사 통신사 대칭으로 확인했습니다.
CCTV는 KT 텔레캅으로 가입하면 됩니다🙌
인터넷과 엮어 작게나마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깐요.
다만..! CCTV는 따로 배치되어 있는 전담 상담원과 통화해야 합니다!
어느 위치에, 어떤 요금제로 가입하실지에 따라 요금과 할인액,
사은품이 상이하기 때문이지요~!
자, 인터넷 요금과 사은품은 바로 안내드리는 게 가능하니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ㅎㅎ
쇼콜라퐁당님 말씀대로 가게 인터넷은 KT로 가입하며
패밀리 할인을 적용하면 됩니다😊
인터넷끼리 엮어 요금 할인을 받는 것이죠~!
패밀리 할인 적용시,
슬림(100메가/공유기 포함) 요금은 23,100원 → 17,600원이 되고요~
사은품 혜택은 현재 정책 기준으로 상품권 3만원 + 현금 6만원이 지급되며
이와 별개로 인터넷 설치비 36,000원이 첫 달 월요금과 함께 청구됩니다.
단, 주말/공휴일/평일야간(7시 이후) 설치 받으신다면 설치비는 45,375원으로 상승해요.
공유기는 함께 안내드렸습니다😆
인터넷과 공유기를 같이 신청하면 1,100원으로 저렴하게 쓸 수 있거든요.
물론 따로 보유하고 계신 개인 공유기가 있다면 굳이 임대할 필요가 없습니다.
공유기 제외시 요금은 -1,100원 줄어들어요👏
여기까지 요금과 사은품 정리를 마쳤는데요~
천천히 살펴보신 후 백메가 통해 가입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신다면
인터넷 먼저 가입 신청하신 후 상담원이
→ CCTV 전담 상담원에게 상담 요청을 하면
→ CCTV 상담 통화를 하시면 됩니다 :)
하여, 통화 가능하신 시간과 연락처를 댓글로 남겨주시겠어요?
연락처는 010-XXXX-XXXX 형태로 남겨주시면
자동으로 블라인드 처리되니 개인정보 노출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ㅎㅎ
010-12**-**** ← 이렇게 감춰지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