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오상관님의 글

꼭 읽어보기 통신사 꼼수에 속고 계셨습니다 : 대칭형 vs 비대칭형 (ver2.0)

회원님의 사진
  • 오상관
  • 댓글: 4,535
  • 조회: 562,011

그레벨에 잠이오냐.jpg

안녕하세요 백메가 개발팀의 오상관이라고 합니다. 2년만의 포스팅이라 감회가 새롭습니다.^^ (대표님의 갈굼에 못 이겨 글을 쓰는 건 우리만의 비밀입니다)

 

오늘은 예전에 올렸던 게임용 인터넷은 역시 대칭형(FTTH) 인터넷에 이어 2탄을 준비해 보았는데 지난번 글보다 쉽게 술~술 읽힐 겁니다.^^

 

 

 

어느 통신사 인터넷을 사용 중이십니까?

 

먼저 여쭙고 싶습니다.

어느 통신사 인터넷을 사용 중이십니까?

속도에는 문제 없습니까?

간헐적으로 2차 성징이 온 청소년 마냥 말썽부리진 않나요?

 

 

wz_1028236157_e06d061a77a7bde916b8a91163029d41.jpg
[온라인 게임에서 인터넷 끊김은 -> 동료들의 분노로 이어집니다]

 


웹페이지 하나가 로딩되는 데 한참 걸리거나, 게임할 때 잦은 지연시간(ping)으로 캐릭터가 버벅대고 있나요? 그렇다면 "비대칭형"이라 불리는 인터넷을 사용할 가능성이 90% 이상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에 공급되는 "초고속인터넷" 상품은 눈에 보이진 않지만 2가지로 나눠집니다. 바로 대칭형(강한놈) vs 비대칭형(약한놈)이라 부르죠.^^

 

 

 

wz_1028236157_77e492365ef5fb4eb5b4f8848275c653.jpg[대칭형 vs 비대칭형을 포켓몬으로 비유해봅니다. 극단적이긴 하지만 이게 사실입니다 ㅎ]

 


그런데 설치받은 인터넷이 비대칭형이라 해서 요금이 저렴한 것도 아닙니다. (같은 요금)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대칭형 방식은 대칭형과 비교할 수 없는 최악의 품질을 제공하죠. (다른 품질)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우리집까지 대칭형 방식 인터넷을 제공하는 회사"를 일일이 찾아가며 선택해야만 합니다.. ㅠ

 

 

 

여기서 사족의 말씀 :

근본 논리대로라면 HFC, MTS, DOCSIS, 종단망, VDSL, ADSL, FTTH, FTTB 등등...

수없는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지만 이론만큼 따분한 게 없습니다.(저만 그렇습니까?) 기술적 용어들은 상징적이고 함축적으로 기술하겠습니다. 

 

 

 

실제로 봅시다.

아래 그래프는 대칭형 vs 비대칭형의 일반적인 스펙 차이입니다. (물론 측정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겁니다)

  

 

wz_1028236157_d99119ca42e35bfa7fbc7fba9ab1d88a.jpg[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높을수록, 반면 지연시간이 짧을 수록 = 좋은 품질의 인터넷입니다]

 

 

그런데 다운로드만 비교하면 거의 동일해 보이죠~? 바로 일반화의 오류입니다.

인터넷은 다운로드 뿐만 아니라 ①다운로드  ②업로드  ③지연시간(Ping, Latency) 의 조합을 통해 품질의 높고 낮음이 갈립니다. 비대칭형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가 90Mbps 라 한들.. ​"실제 다운로드에 반응하는"하는 시간까지 90Mbps 속도로 제공된다는 의미는 아니지요.^^

 

 

예를 들어봅시다. 

일반적인 인터넷 통신수많은 다운로드 + 응답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wz_1028236157_7151184986aed9f8f418938930271d37.jpg 

 

NAVER(네이버)의 메인 페이지를 접속할 때만 해도 (바로 위 이미지) 91차례나 되는 통신 과정이 이루어 지는데, 실제 다운로드량은 1.9MB 에 불과합니다.


즉,

① 다운로드 속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나 빠릿빠릿하냐?" 가 중요한 것이고

③ 빠릿함의 잣대인 "지연시간"을 충족하지 못하는 인터넷의 다운로드 속도는

④ 모두 허상에 불과합니다.


 

 

 

통신사는 "비공개"를 사랑해

 

그래서, 현재 사용중이신 인터넷이 대칭형인지 비대칭형인지 알고 계십니까? 혹시 모르더라도 안심하십시오. 모르는 분이 대부분입니다. 통신사에서 제품의 실제성능을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죠.^^; 각 통신사의 본사 홈페이지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설치가능 조회"는 단순히 "인터넷이 들어오느냐?"의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대칭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wz_1028236157_f98b1d9c780876608879bc0c47a500e0.jpg

[위 이미지는 SK본사 홈페이지의 "인터넷 설치가능 지역 조회" 결과입니다.

대칭형 / 비대칭형을 뭉뚱그려 "광랜"이라고 일축하고 있는데 비단 SK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같은 명칭이나 같은 통신사 상품을 이용하고 있다고 해서 -> 모두 똑같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지 않은 셈인데.. 이 역차별을 ​눈속임으로 쉬쉬하는 형국입니다.

 

 

 

  

기가인터넷 시대가 열렸다고요?

대~단하십니다?

  

TV에서는 "기가인터넷 시대가 열렸다"는 광고가 끊임없이 송출됩니다. 맞습니다. 2014년 10월에 출시한 기가인터넷은 단 ​2년 만에 전체 인터넷 인구의 30%가 사용하는 상품이 되었습니다.

 

wz_1028236157_4af20c5bd97917ba7ca3fca8b0876719.png[하도 자주봐서 지겹더랍니다]

 


하지만 실상은 형편없습니다. 아직 온전한 100메가급 인터넷 조차 발휘되지 않는 지역이 많고, 짝퉁(?) 기가인터넷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죠.

 

 

음 여기서 잠깐.

짝퉁이라니 뭔가 이상하지요?

사실 기가인터넷 설치가 가능한 장소라 해서 "100메가급과 전혀 다른 망"이 설치되는 게 아닙니다. (100~ 1기가급은 동일한 기간망을 사용합니다)

 

그러다 보니

1) 비대칭형 제공 장소는 =>

(끔찍하게도) 비대칭형 기가인터넷이 제공되고

2) 대칭형 제공 장소는 =>

(쾌적한) 대칭형 기가인터넷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wz_1028236157_5b2b2af30c86a31059c6c7855888f4d3.png[또 포켓몬에 비유합시다.

느리고 말 안 듣는 알통몬 5마리보다.. 말 잘 듣고 빠릿빠릿한 괴력몬 1마리가 더 낫지 않습니까?]

 

 

티코에 비싼 튜닝을 한다고 => 페라리가 될 수 없습니다. 비대칭형 방식의 기가급 인터넷은, 마케팅으로 포장된 "무늬만 기가인터넷" 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끔찍할 정도의 지연(Duration, ping)을 유발하고 있지요.

 

 

 

 

대칭형은 어디에 들어와 있나?
 

건물지하에 통신장비(통신실)이 설치된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대부분 대칭형 인터넷이 제공됩니다. ​즉, 최근에 준공된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는 문제없다고 보시는 게 좋아요.^^ 다만 2000년대 미만에 준공된 곳들의 사정은 녹록지 않습니다. 

 

5층 미만의 건물은 ① KT의 경우 근린 전봇대에 FTTH가 설치되어 있는 곳만 대칭형 광랜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 전봇대에 아래 왼쪽 사진과 같은 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wz_1028236157_f3a9ef06bd8ff59d378c806253f0fe9d.jpg

 

혹시 전봇대에 함이 설치되어 있어도 가용포트가 없으면(총 12포트인데, 전부 사용 중이라면) 대칭형이 아닌 비대칭형만 가능합니다...ㅠ

 


② 이젠 찾아보기도 힘든 장비이지만- 건물주의 허락 하에 위 오른쪽 사진과 같은 광랜장비가 설치된 곳일 경우 대칭형광랜을 쓸 수 있는데, 건물의 미관을 해치고 옥상방수에 크랙이 간다고 건물주가 잘 허락을 안해줍니다^^; 

 


③ 5층 미만 건물(빌라, 원룸 등)일 경우 KT와 마찬가지로 "아래 그림과 같은 얇은 검은 선"이 들어와 있어야 대칭형 광랜을 쓸 수 있는데, 설치 된 곳보다 안된 곳이 더 많기 때문에 큰 기대를 가지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wz_1028236157_e7347ee60568eff8226a78831cc564d4.jpg

[이게 그 "검고 얇은 선"입니다. 즉, 광케이블이죠]

 

  


마지막으로 특수 케이스 3가지가 있는데, 아래 사진과 함께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wz_1028236157_bff8c7e9ac50a68a5a1b3717884c2717.jpg

 

1) 맨 왼쪽 사진처럼 8~12층짜리 건물은 대부분 KT상품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대칭형 광랜 유무는 건물 관리실에 물어보시면 확인이 가능하죠.

 

2) 중간 사진처럼 주변에 전봇대가 없는 "전선 지중화 작업"이 된 곳이라면 역시 KT만 가능하며, 소규모 건물일 경우 기사님께서 내방해 보셔야 대칭형광랜 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청 후 기사님 연락이 왔을 때 대칭형 광랜이 안된다면 취소해달라고 해주세요. 

이렇게 개통 당일 취소하시는 것은 아무런 위약금이 청구되지 않고 바로 무사히 해지(취소) 처리가 됩니다.

 

3) 맨 오른쪽 사진처럼 주변에 가옥이 없는 "읍" "면" "리" 주소지 역시 KT만 가능하며, 이런 곳일 경우 FTTH의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아마 8메가 짜리 ADSL이 설치될 확률이 가장 높죠.

 


 

 

대칭형 지원여부는 어떻게 조회할 수 있나?

 

각 통신사의 "설치지역 조회 서비스"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데 정확도가 떨어지고 조회하기가 참으로 난감하고 난해하게 되어 있습니다. (특히 번지 입력 시스템은 최악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FTTH 지원 여부는 설치기사님이 인터넷을 설치하러 오는 시점에서 알 수 있습니다. 즉, 가장 편하고 정확한 방법은 백메가에 인터넷 가입 신청을 하시고 -> 설치기사님이 나오시면 -> FTTH 지원유무를 확인하십시오 -> 만약 안된다고 하면 설치 취소해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즉, 이렇게 설치 전에 취소하시면 아무런 위약금이 청구되지 않고 바로 무사히 취소 처리가 되는 것이죠.

 

 

위의 방법 외에 특이사항이 있으시거나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백메가에 제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전체 댓글 4535
  • 회원님의 사진 JamJamOh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잘 읽었습니다.
    KT 인터넷(500mb - 요금 3만원 정도)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 인터넷이 잘 안되는 것 같아서 AS를 불렀더니 와이파이 기계가 너무 오래돼서 교체하라고 권유하더군요.
    기계 교체하려니까 또 기계 임대료도 들고 TV랑 결합하라고도 하는데 KT만 계속 썼던 상황이라 다른 통신사로 교체해볼까, 신규가입으로 들어가볼까 이런저런 고민을 하다가 여기까지 왔어요 ㅋㅋ

    저희는 오래전에 조성된 단독 주택에 살고 가족 3명은 알뜰폰(LGU+망/ 통신사는 다름) 사용 중이에요. 예전에는 LG 유선인터넷 악명이 자자했는데 이제 괜찮나요?
    TV는 부모님이 유선방송? 같은 걸 연결해서 보고 계세요(8천원 정도?) 저는 TV를 아예 안 봐서 잘 모릅니다
    집에 kt 유선전화가 한 대 있구요. 엄청 오래된 번호를 쓰고 있어요.

    우선 인터넷 연결 방식은 차후 문제일 것 같고
    어떻게 설치를 바꾸면 좋을 지 궁금합니다. 알뜰폰 때문에 LGU+이 가장 가성비가 좋다면 인터넷 품질은 어떤지도 궁금하구요.

    답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JamJamOh안녕하세요~! JamJamOh님 😊
    백메가 김사라입니다
    꿀팁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당 ㅎㅎ

    현재 KT 500메가 인터넷을 오래 사용 중이신데,
    최근들어 인터넷 품질이 불안정하였군요!
    KT는 보통 망 품질이 안정적인 편인데....
    안내 받으신 대로 "공유기 품질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우선 지금 가장 가성비 좋은 구조는 LG로 이동 + 알뜰폰 결합입니다!
    왜냐면~!
    LG는 알뜰폰 결합 정책이 아주 유연하게 잘 되어있거든요 😊



    ▶ KT, SK :
    알뜰폰 통신사에 전화해서
    "이 요금제랑 결합 되나요?" 하고 하나하나 확인하셔야 해요 😥
    공식 리스트가 없거든요....
    조금 번거롭습니다

    ▶ 하지만! LG는 :
    결합 가능한 알뜰폰 요금제 리스트를 공식 문서로 매달 공개합니다!
    그래서 내가 사용하는 요금제가 결합 가능한지 바로 확인할 수 있지요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oTdLDrlLFa4Fknzo-0R60MIsdew_FvIT9h5izlnFRk/edit?usp=sharing



    그리고 또 차이가 있어요!

    ▶ KT나 SK는 인터넷 개통 후 1개월 안에만 결합이 가능하고
    -> 나중에 알뜰폰 통신사를 변경하시면
    -> 결합이 깨지고 재결합도 불가합니다

    ▶ 하지만 LG는!!
    알뜰폰 요금제나 통신사를 바꾸더라도
    언제든지 다시 결합을 신청해서 혜택을 이어받을 수 있어요~!!
    아주 큰 장점이죠 😊

    결합 시 할인은 이렇게 들어갑니다!
    *100메가 : 5,500원 할인
    *500메가 : 9,900원 할인
    *1기가 : 13,200원 할인

    정말 쏠쏠하지요~?



    게다가 LG는 최근 들어 인터넷 품질도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과거에 악명(?)이 있었던 건
    '비대칭형 망'이었던 경우가 많았는데요~

    지금은 전국적으로 인프라를 투자해서
    웬만한 지역은 대칭형 망으로 들어가고 있어요!

    다만, 지역마다 품질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건 꼭 먼저 확인해보셔야 합니다ㅎㅎ

    JamJamOh님 자택 주소지를 남겨주시면
    제가 LG 인터넷이 대칭형으로 들어가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바로 옆 건물 차이로도, 혹은 같은 건물 내에 세대 간에도 차이가 날 수 있으니
    대구광역시 중구 백메가로 11, 백메가빌라 101동 101호
    이렇게 정확히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주소는 게시판에 남겨주셔도 자동 블라인드 처리되니 걱정마시고요~😉

    그럼 JamJamOh님 상황에 가장 잘 맞는 방향으로
    제가 꼼꼼하게 도와드리겠습니다 💛
    답변 기다리고 있을게요! 감사합니다!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