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곽은정님의 글

최신기기 리뷰 뜨끈한 KT 신제품, 지니 TV 셋톱박스 4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회원님의 사진
  • 곽은정
  • 댓글: 20
  • 조회: 10,926

한 달 전 SK가 AI(=인공지능)를 강조한 셋톱박스를 출시했는데, 이번에는 KT가 비슷한 포지션의 셋톱박스를 발표했습니다. AI 열풍이 정말 뜨겁나 봅니다.. (찻잔 속의 태풍은 아니겠지요?)


이번에 KT에서 출시한 셋톱박스는 높은 성능 · 다양한 기능 · 일체형 스피커 · 심지어 세계 최초 8K화질 지원이라는 타이틀까지 달고 나왔습니다! 그런데 과연 소비자에게 와닿을 수 있을까요?



07_지니티비4_잘나온사진.png

[ 이게 바로 "지니 TV 셋톱박스4" 입니다. 줄여서 "기가지니4"라 칭하겠습니다 ]



성능과 특징

구분기가지니A기가지니4비고
한 줄 요약보급형고급형-
모델명KSTB-6188
MA-4000
MAU4800D (화이트/그린)
-
제조사가온미디어
마르시스
마르시스-
CPU (SoC)Amlogic S905X4
21,800 DMIPS
Amlogic S928
34,000 DMIPS (NPU: 3.2TOPS)
세대 변경
메모리SK하이닉스 DDR4 3GB
(1GB * 2 / 0.5GB * 2)
SK하이닉스 DDR4 6GB
(4GB * 1 / 2GB * 1)
2배 향상
저장소8GB
32GB4배 향상
최대지원화질~2160p/60 (4K)
~4320p/60
8K 지원
HDR ReadyHDR10
HDR10, HDR10+,  돌비비전
규약 추가
돌비 애트모스XO규약 추가
월 임대료3,300원6,600원2배 인상
운영체제AndroidTV 11
AndroidTV 14
세대 변경
전력소모능동 2.9W
수동 0.6W
능동 3.3W
수동 0.8W
증가
크기 및 무게135(W) x 135(L) x 35.5(H)
200그램
168(W) x 128(L) x 105(H)
1,040그램
증가
지원단자광출력(S/PDIF), HDMI, USB2.0, 100Mbps Ethernet
광출력(S/PDIF), HDMI, USB2.0, 1Gbps Ethernet
-
블루투스 버전5.0
5.3-
음성인식마이크 * 2마이크 * 42배 향상
스피커 출력3W20W대폭 향상


확실히 빠릿빠릿합니다

리모컨 응답 속도가 확실하게 개선되었습니다.

스펙이 대폭 향상된 덕분인지.. 런처(=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잘 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가지니A에 비해 스펙 차이가 큰 건 사실입니다 ㅎㅎ



스피커가 달렸습니다

전작보다 높은 20W 스피커가 탑재되었습니다. 물론 이 정도 출력은 보급형 TV 내장 스피커 수준이라.. 웅장하고 입체적인 소리를 제공하진 못합니다. 



02_지니티비4_전면스피커-1.webp

[ 2채널 스피커가 내장되었으나, 출력이 부족하고 서브우퍼(0.1채널)도 없습니다 ]


그냥 "블루투스 스피커 하나 생겼다!" 생각하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



세계 최초 8K 지원... 쓸모 있냐고요?

당장에는 쓸모없습니다.

현실적으로 8K 화질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TV를 장만한 집이 1% 미만이고, 만약 8K TV를 가지고 있는 부잣집(?)이라 해도.. 정작 8K로 만들어진 콘텐츠(=영상)가 없습니다.


03_지니티비4_8K_크기비교_수정.png

[ IPTV에서 나오는 지상파도 아직 1080(1K) 규격인데..

8K를 논하기에는 너무 이릅니다. ]



물론 KT에서는 8K 업스케일링이 목적이라 홍보하지만, 업스케일링이란 게 결국 저화질 영상을 → AI로 보정하는 것에 불과해 완벽한 생생함을 주긴 어렵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IT 커뮤니티에서도 비난이 자자하더군요...😂


tc_1731251883_8037577.jpg

[ 비난과 원성이 엄청납니다.. ]


그런데 말입니다.

KT의 결정권자가 8K 콘텐츠 부족을 모를 리 없습니다. 8K TV를 보유한 집이 1% 미만에 불과하고, 콘텐츠(=영상) 사업자와 하드웨어 사업자가 서로 눈치만 보는 상황인데,  KT가 먼저 나선 것은 꽤 모험적(?)이기까지 합니다.


어쩌면 이 셋톱박스의 핵심은 "8K로 본다"가 아니라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KT의 의지 아닐까 싶습니다. KT 결정권자의 결단이 담대해 보입니다.



매월 6,600원?

KT의 가장 잘나가는 기가지니A가 월 3,300원인데, 기가지니4는 무려 6,600원으로 출시했습니다! KT의 모험심과 결단은 훌륭하지만, 막상 써먹을 데 없는 8K 때문에 → 소비자가 비싼 요금을 지불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04_지니티비4_월임대료_수정.png

[ 보급형으로 출시한 기자지니A가 현역에서 잘 뛰고 있는데..

2배 가격인 기가지니4를 택하긴 어렵습니다. ]


혁신은 멋진 일이지만

혁신의 대가를

소비자에게 떠밀어서는 안 될 겁니다.



이제는 정말 AI 시대인가 봅니다

한 달 전 SK가 출시한 셋톱박스도 AI(=인공지능)를 엄청 강조했는데, KT는 그보다 더 합니다! 마치 SK를 능욕(?)하는 것처럼, 더 다양한 AI 기능으로 무장했지요.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구분내용
AI 화질 최적화꾀죄죄한 화질의 영상을 → AI로 보정 (=업스케일링)
AI 화면 밝기 조절주변 밝기에 따라 → 자동으로 TV화면 밝기(=명암) 조절
AI 배경화면소비자 TV이용 패턴 + 재실 상태를 인식하여 →
자동 전원 켜짐 + TPO에 맞는 배경화면 송출
AI 사운드- 실시간 방송 · VOD · OTT 등의 음량 편차를 감지하여 → 일정한 음량 제공
- 콘텐츠 장르(영화 · 드라마 · 스포츠 등)에 최적화 된 사운드 모드 제공
AI 소음 감지청소기 등 실생활 소음을 감지하여 → TV볼륨 자동 조정
AI 시청 설정소비자 계층에 적합한 AI퀵모드 제공 (육아해피 · 솔로힐링 · 실버편한)


사실 AI라는 멋들어진 이름을 붙이긴 했으나

뭔가 익숙한 게 많습니다!


업스케일링은 KT뿐 아니라 모든 통신사 셋톱박스에 내장되었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는 TV 제조사(LG전자, 삼성전자 등)의 업스케일링 성능이 더 좋지요.


tc_1731317015_3516676.jpg

[ 화질 기술 최강자(?)는 통신사가 아닌 TV 제조사입니다

자체 특화된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는 곳들이지요 ]



AI사운드나 소음 감지도 TV제조사들이 먼저 발 빠르게 도입한 기능입니다. 물론 TV제조사와 모델(=등급)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굳이 셋톱박스만 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지요.


tc_1731308769_3602085.jpg

[ LG전자 · 삼성전자 등 TV제조사들이 더 앞서 있습니다.

공간인식 · 장르맞춤 · 업믹싱 등 딥러닝 기반 사운드는 이제 대중적이지요 ]


화면 밝기 조절도 이미 TV제조사 일부에 탑재되어 있고, 셋톱박스 마음대로(?) TV를 자동으로 켜서 배경화면을 보여주는 건 호불호가 있을 듯합니다.


- 물론 "너가 뭘 좋아할지 몰라서 전부 다 준비했어"란 말이 어울릴 만큼,  다채로운 AI 기술을 → 하나의 셋톱박스에 담아낸 게 대단합니다. AI 기술이 탑재되지 않은 구형 TV를 보유한 가정에서는 꽤 의미 있을 겁니다.




디자인. 어떻게 생겼나?

01_지니티비4_셋톱박스_리모컨.png

무난합니다.

굿 디자인 어워드 2024에서 본상까지 올라갔다는데,

여러분은 어떠십니까?



08_지니티비4_제네바스피커.png


우측은 요즘 유행하는 제네바 스피커, 좌측은 기가지니4입니다.

뭔가.. 비슷하다고 느끼는 건 저 뿐인가요?




09_지니티비4_크기비교.png


크기는 생각보다 작습니다.

하지만 TV 뒤에 매립할 정도는 아닙니다. 요즘에는 벽걸이 TV 뒤편이나 거실장 안에 셋톱박스를 꼭꼭 숨기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용도로는 부적합합니다.




10_지니티비4_hdmi_Green.png


번들로 제공되는 HDMI 케이블이... 무려 Ultra high speed (그린 폰트) 인증받은 녀석입니다.


이게 무엇이냐고요? 무늬만 고급인 비표준 HDMI와 달리, 정식으로 인증받은 HDMI 2.1 규약 케이블입니다. 사소한 곳까지 배려가 느껴집니다.




11_지니티비4_ABS수지-1.webp


뻔하디 뻔한  ABS 수지입니다.

마감 상태는 좋지만, 표면 도료가 오염에 매우 취약합니다.

살짝 긁혀도 흠집이 눈에 밟힙니다.




12_지니티비4_MIC4개.png


저기 보이는 구멍들은 MIC(=음성인식용 마이크)입니다.

과감하게 MIC를 4개나 뚜드려 박았습니다...ㅋㅋㅋ




13_지니티비4_후면포트.png


포트는 전부 후면에 배치됩니다. 광출력 단자도 있네요.

맨 왼편의 마이크 모양 버튼은 수동으로 MIC(=음성인식용 마이크) ON/OFF를 제어하는 용도입니다.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오늘날에 매우 적합한 아이디어입니다.




14_지니티비4_측면.png


쓸 일은 없지만 음량 조절 버튼이 측면에 있습니다.




02_지니티비4_전면스피커-1.webp


전면 간살(?)은 쉽게 탈착됩니다.

여기에 스피커 · 조도 센서 · IR 센서 등이 숨어 있습니다.




16_지니티비4_리모컨단독.png


이게 바로 기가지니4 리모컨입니다.


나중에 버튼 일부가 개편될 예정입니다.

- 지니뮤직 → 혜택+

- 마이크 아이콘 → 상단에 "AI" 텍스트 추가




17_지니티비4_리모컨_3사.png


좌측 KT / 중간 SK브로드밴드 / 우측 LG유플러스.


통신 3사 리모컨 중 바로가기 버튼이 가장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립갑 · 버튼 구성은 KT가 제일 나은 듯해요.


18_지니티비4_발열.png


요즘 발열은 다들 잘 잡습니다.

이건 SoC 회사들이 저전력, 고성능 아키텍처를 위해 밤샘 작업을 한 덕분..

그들에게 감사 인사를...




총평

❤️장점 

- 고사양

- 무려 8K 지원

- 수많은 AI 기능

- 디자인

- 스피커


💔단점

- 비싼 가격

- 8K TV도... 8K 콘텐츠도 거의 없음...

- AI 기능들은 TV제조사에서도 제공

- 디자인(?)

- 애매한 출력의 스피커



07_지니티비4_잘나온사진.png


기기지니4는 개성 있습니다.

셋톱박스를 가전이 아닌 일상의 소품으로, 인프라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도 8K라는 모험을 단행합니다. 각종 AI 기능은 어느 통신사보다도 다채롭지요. 어쩌면 시장 선도자가 아니면 택할 수 없는, 담대한 결단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선도적 모험이 소비자 마음을 움직인다는 보증은 없습니다. 소비자는 가차 없이 냉정합니다. 출시 이후의 행보가 더욱 중요할지도요.


AI 유행이 요즘만큼 뜨겁지 않은 7년 전, KT는 이미 셋톱박스의 미래를 그려왔습니다. 모듈형 카메라, 음성인식, 배달, 생활 정보, 이제는 On-Device AI까지. 청사진 대로 잘 풀리지는 않았지만, 도전이 없다면 혹은 냉소로 일관한다면 발전은 존재하지 않을 겁니다. KT의 승부사적 기질을, 마냥 돈키호테 취급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제 총평은 80/100점.

KT의 모험심에는 95/100점입니다.


그래서 "무슨 셋톱박스를 집에 들여놓을래요?" 물으신다면 기가지니A입니다.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편집이 참 맛깔납니다 😉]
전체 댓글 20
  • 회원님의 사진 하마곰
    혹시 이번에 나온 기가지니4모델은 채널 반응속도나 응답속도가 많이 좋아졌을까요? 예전 KT 기가지니2 썼을때는 채널속도 조금 답답한면이 있었는데 LG로 넘어가면서 UHD4 셋탑 썼을때는 반응속도랑 인터페이스가 너무 편하더라고요
    KT도 안 쓴지 한 3년된거 같은데 기가지니4 정도 모델로 옮긴다면 UHD4쓸때처럼 괜찮을지 궁금하네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하마곰하마곰님~! 🦛🐻‍❄️ 안녕하세요 😉
    백메가 김사라 입니다


    기가지니2와 비교해서 기가지니4의 반응 속도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그리고 LG UHD4와 비교하면 어떤지 궁금하셨죠?

    한번 CPU와 메모리, 운영체제 정도로 비교해볼게요~
    아래를 봐주시겠어요?



    기가지니2
    *CPU : Broadcom BCM 7268 / 하이실리콘 Hi3798C 1.6GHz 쿼드코어 (14,000 DMIPS)
    *메모리 : 3GB
    *운영체제 : Android 5 (AOSP)

    기가지니4
    *CPU : Amlogic S928 (34,000 DMIPS)
    *메모리 : SK하이닉스 DDR4 6GB (4GB + 2GB)
    *운영체제 : AndroidTV 14

    LG UHD4
    *CPU : Synaptics VS680 2.3GHz 쿼드코어 (35,000 DMIPS)
    *메모리 : 삼성전자 LPDDR4 3GB (3,733MHz)
    *운영체제 : AndroidTV 10 (Q)


    보시다시피 기가지니2와 비교하면,
    2배 이상의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
    그 뿐만 아니라 찐또배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어서
    LG처럼 셋톱박스에서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ㅎㅎ

    그리고 UHD4와 비교해서도 성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ㅎㅎ
    암로직 CPU는 멀티미디어 처리에 강점이 있고,
    시냅틱스 CPU는 좀 더 안정성 있지요

    실제로 체감되는 속도나 반응성은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결론적으로 기가지니4를 사용하시면,
    LG UHD4처럼 빠르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TV를 즐기실 수 있어요! 🎉
  • 회원님의 사진 하마곰
    @김사라친절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사라
    @하마곰후훗 😁💕
    하마곰님께 도움을 드릴 수 있어서 제가 더 감사드리고 기뻐요!
    언제든 궁금하신 점은 부담없이 문의주세요~!

    KT 신규가입을 원하신다면 백메가에서도 도와드릴 수 있으니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