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 이수빈님의 글

최신기기 리뷰 LG유플러스 4세대 셋톱박스 (UHD4) : 내가 무릎을 꿇었던 건,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

회원님의 사진
  • 이수빈
  • 댓글: 186
  • 조회: 115,999

 



UHD3 셋톱박스는 전설의 레전드였습니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빠릿한 반응속도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고, 유튜브·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OTT 서비스와의 협업을 통해 최상의 시청 품질을 보장해왔습니다.


2019년 초에 출시한 제품이.. 지금껏 주력모델로 활동하는 이유가 달리 있겠습니까~? 😁



영국여왕_엘리자베스_밈.jpg

[UHD3만큼 사골 우려내듯 쪽~쪽 뽑아먹힌 셋톱박스가 또 있을까요 ㅠㅠ]



그러나 2022년 1월 17일,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떠밀려 UHD3가 3년 만에 은퇴식을 치르고 신상 모델인 UHD4에게 바통을 넘겨주었습니다. 

과연 UHD4가 찬란했던 과거의 영광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가능하고도 남습니다 ㅎㅎ



00.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전면도수촬영.jpg

01.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리모콘과 함께.jpg

[이것이 바로.... 완전 신상 UHD4 셋톱박스입니다]




1. 성능과 특징

구분UHD3UHD4평가
모델명
UIE4027LGU
- UHD4K
- UHD4T
-
제조사Technicolor
- 가온미디어
- Technicolor
-
CPU시냅틱스 BG5CT
1.6Ghz 쿼드코어 (14,000 DMIPS)

시냅틱스 VS680
2.3Ghz 쿼드코어 (35,000 DMIPS)
😄 2.3배 향상
메모리SK하이닉스 LPDDR4 3GB (2,400Mhz)
(1GB * 2 / 0.5GB * 2)
삼성전자 LPDDR4 3GB (3,733Mhz)
(1.5GB * 2)
😄 클럭 향상
저장소삼성전자 eMMC 5.1 16GB
삼성전자 eMMC 5.1 16GB
-
화질- 최대 해상도/주사율 : UHD(2160p) / 60Hz
- HDR Ready : HDR10
- 최대 해상도/주사율 : UHD(2160p) / 60Hz
- HDR Ready : HDR10, 돌비비전
😄 지원규약+
음질2~5.1채널
- 2~5.1채널
- AI음향 (LG전자)
- 돌비 애트모스
😄 지원규약+
월요금4,400원4,400원-
운영체제안드로이드TV 8 (오레오)
안드로이드TV 10 (Q)
😄 세대 교체
대기전력4.5W
 3.6W
😄 25% 향상
지원단자USB3.0 / HDMI / 100Mbps Ethernet /
BT 4.2 / 광출력(S/PDIF)
USB3.0 / HDMI / 1Gbps Ethernet /
BT 5.0 / 광출력(S/PDIF)
😄 일부 향상
크기130 x 130 x 33mm
131 x 131 x 34mm
-




미니멀리즘 풍토에 싸다구를 날리는 스펙.

오늘날 셋톱박스 시장이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원가절감 X꼬쇼로 점철된 반면, 

LG만큼은 맥시멀리즘 라이프가 무엇인지 몸소 증명하고 있습니다.


로열티 한푼이 아까워 Dolby Vision/Atmos 지원에 소심한 경쟁사들과 달리 풀소유 정신을 몸소 실천하고 있고, 다채로운 입출력 단자를 작은 공간에 욱여넣었습니다.

메모리 용량은 비록 3GByte로 UHD3 시절과 같습니다만, 대신 클럭 속도(Mhz)가 1.5배 향상되었습니다.

메모리 성능은 = 용량(대역폭)과 클럭(처리속도)의 높고 낮음으로 좌우되기 마련이죠.


구분LGSKKT
메인스트림 모델UHD4 (UHD4K/T)스마트3 (BFX-AT100)
기가지니A (MA-4000)
기기지니3 (KI1100)
월 임대료4,400원4,400원3,300원4,400원
CPU 연산능력35,000 DMIPS
18,400 DMIPS
21,800 DMIPS
35,000 DMIPS
메모리 용량/클럭3GB / 3,733MHz
3GB / 2,666MHz
3GB / 3,200MHz
3GB / 3,733MHz
돌비비전 지원OXXO
돌비애트모스 지원O
X
X
X
광출력(S/PDIF) 지원
O
X
O
O
안드로이드 앱 지원O
O (넷플릭스 미지원)
O
X

[메이저 통신사들의 주력 셋톱박스 비교표. 차이점이 확연히 보입니다]




음질에 진심입니다.

UHD4 셋톱박스는 돌비 애트모스5.1채널 음향기술을 100% 지원하지만, 

입력장치(셋톱박스)뿐 아니라 출력장치(오디오) + 콘텐츠(소스)가 해당 기술을 지원하지 못하면 아무 의미 없습니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가정환경에서는 2채널 혹은 2.1채널 스테레오 오디오를 사용하기에, 돌비 애트모스 시스템은 일부 비싼 극장에서나 경험할 수 있는 게 사실입니다.



매드맥스_기타맨.jpg

[모든 가정집들이 거창한 오디오 환경을 구축한 건 아니지요 ㅠㅠ]



하지만 UHD4 셋톱박스는 2채널 오디오 환경에서도 제법 맛깔나는 소리를 연출하는 AI음향 기술을 탑재했습니다.

물론 AI 인공지능 같은 그럴싸한 이름만 붙여놓고 제 능력 발휘 못하는 경우를 그동안 많이 목격하셨겠지만(..🤣) 이 AI음향은 무려 백색가전 대장인 LG전자의 협업기술입니다.


구분설명비고
공간맞춤리모콘 ↔ 셋톱박스 거리로 주변공간 크기를 인식하여 최적화된 사운드 설정-
서라운드 및
보이스 강조
▪ 서라운드 : 콘텐츠 장르에 맞게 2채널 → 가상의 5.1채널 효과를 부여
▪ 보이스 강조 : 목소리(음성)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여 대사가 잘 들리도록 유도
택1 (수동 / 자동전환)
자동 볼륨실시간 방송 ↔ VOD 전환시의 볼륨 차이를 줄여줌-

[LG전자 기술인 AI음향은 크게 3가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참고로 서라운드 vs 보이스 강조는 1가지를 취사선택 할 수 있고,

재생하는 콘텐츠 성향에 맞게 셋톱박스 스스로 자동전환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니 자동전환 상태에서는 채널 변경 시 볼륨 차이가 이질감이 들 정도로 커서 불편하더군요. 😱 조금 귀찮더라도 수동전환을 택하시길 강력히 권유드립니다.



04.LG유플러스_UHD4_리모콘(디즈니+리모콘)_버튼 확대.jpg

[수동전환이라 해도 그닥 불편치 않습니다. 리모컨의 [옵션] 버튼을 누르시면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원조 맛집.

LG유플러스는 일찍이 2012년부터 셋톱박스에 안드로이드tv 운영체제를 탑재하는 근대적 개혁을 시도했습니다.

2021년에야 안드로이드tv를 부랴부랴 도입한 KT와는 무려 9년 차이지요... 🤐


역사와 전통의 안드로이드 맛집답게, UHD4에서도 안되는 것 빼고 다 되는 수준의 앱 생태계를 제공합니다.

게다가 넷플릭스와 유튜브의 캐시서버(cache server)를 메이저 통신사 최초로 도입한 덕에 끊김없이 안정적인 대역폭을 보증합니다.



캐시서버.jpg

[LG유플러스 사용자들은 국내 캐시서버 덕분에

굳이 해외에 위치한 넷플릭스에 접속할 이유가 없습니다]



굳이 한가지 불만은 KT 메인스트림 기종인 기가지니A가 안드로이드tv 11버전을 탑재했는데, 후발주자인 LG UHD4가 10버전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LG유플러스의 의지(?) 부족 때문은 아닐 테고요~

① CPU 벤더사들의 Android SDK 대응 능력 차이, ② 생각보다 길어진 UHD4의 개발/준비기간이 원인일 듯 합니다.



구분 지원 미지원비고
넷플릭스
네이티브 탑재
디즈니플러스

네이티브 탑재
애플TV 플러스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유튜브

네이티브 탑재
유튜브 키즈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왓챠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웨이브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티빙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쿠팡플레이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TED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N플레이어
플레이스토어 검색 / 설치

[알만한 앱(어플)들은 모조리 지원하고 있습니다 😁]





2. 겉모습 핥기


02.LG유플러스_UHD3 vs UHD4 셋톱박스_01.jpg


좌측은 구형 UHD3 / 우측은 신형 UHD4 입니다.

크기/무게 차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누가 보아도 같은 핏줄이라는 걸 단박에 알 수 있습니다.




02.LG유플러스_UHD3 vs UHD4 셋톱박스_폴리카보네이트 상태 비교.jpg


디테일하게 들여다보면 전작보다 떨어지는 마감 상태를 조우할 수 있습니다.

좌측 구형 UHD3는 딴딴한 폴리카보네이트 + 샌딩처리 + 과하지 않게 은은한 펄 안료를 조합해 위트를 살린 반면, 우측 신형 UHD4는 따분하고 칙칙한 플라스틱 감성이 노골적입니다.


셋톱박스 상판의 물리버튼도 신선함 → 따분함으로 성공적인 다운그레이드가 완료되었네요.

갬성보다는 기술에 치중했다 믿어줍시다...




03.LG유플러스_UHD4_펩시콜라 제로 355ml와 비교.jpg


TV 뒷편에 매립 가능한 수준으로 작고 얇습니다.

다이어트 콜라계의 대장, 펩시 제로 355ml와 함께 찰칵.

코카콜라 제로보다 20배 맛있습니다.




05.LG유플러스_UHD4_SK_스마트3_KT_기가지니A_비교사진.jpg


메이저 통신사들의 주력 셋톱박스들입니다.

좌측 = SK 스마트3 / 가운데 = LG UHD4 / 우측 = KT 기가지니A

척척박사 공대생들 덕분에 오늘날 셋톱박스들은 소형화 및 저전력화에 성공했습니다.

공대생 만세.




06.LG유플러스_UHD4 측면 유광.jpg


측면은 유광(글로시) 마감으로,

앞으로 귀하의 지문 수집가가 되어 줄 겁니다.




06.LG유플러스_UHD4 전측면_LED부분.jpg


전면에는 <전원> 및 <인터넷>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는 LED가 있습니다.

초록색 = ON / 빨간색 = OFF입니다.


참고로 SK의 스마트3 셋톱박스 LED는 초록색 = OFF / 흰색 = ON 이라 직관성이 매우, 현저히, 심각하게 떨어집니다. 제 인생 버킷리스트 중 하나는 SK의 UX 개발진들과 소주 한 잔 해보는 겁니다. 도대체 왜 그러셨어요?




07.LG유플러스_UHD4 후면 단자.jpg


후면에는 광출력(S/PDIF), HDMI, LAN포트, 전원부, USB 2.0이 있습니다. 

사진상으로도 식별되겠지만 측면에 USB 3.0 포트가 하나 더 있어요.




08.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전용 리모콘 (일명디즈니+ &amp; 한눈에쇼핑 리모콘).jpg


UHD4 전용 리모컨이 따로 개발되진 않았고, UHD3 시절 후반부에 공급되던 디즈니+/한눈에 쇼핑 리모컨을 그대로 계승합니다.

다만 UHD4에서 공급되는 리모컨은 아무도 눈치채지 못할 수준의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사진 왼쪽은 UHD3 / 우측은 UHD4. 구분하실 수 있겠어요~? 😆




08.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전용 리모콘 (일명디즈니+ &amp; 한눈에쇼핑 리모콘) _ 바로가기 단축키 확대.jpg


이 두 리모컨의 차이점은 바로가기 버튼(넷플릭스 등) 인쇄 퀄리티입니다.

UHD4에서 공급되는 리모컨의 실크 인쇄가 더욱 정교하고 두꺼우며, 곡면(측면)까지 처리되어 일체감이 우수합니다.

기능적인 차이점은 전무하지만 이쁜 게 좋은 거죠...😸




08.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전용 리모콘 (일명디즈니+ &amp; 한눈에쇼핑 리모콘)_하단 3.5파이 이어폰 단자.jpg


메이저 통신사 메인스트림 기종 중 유일하게 리모컨 3.5파이 단자를 지원합니다.

여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시면, 가족들 몰래 새벽에도 은밀한 TV시청이 가능합니다.




10.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리모콘 및 역대 리모콘들.jpg

10.LG유플러스_UHD4셋톱박스_리모콘 및 역대 리모콘들_ 후면.jpg


그동안 수많은 세대의 리모컨이 출시되었습니다만 구형 리모컨과는 호환성이 담보되지 않습니다 ㅠ

특히 쿼티(QWERTY) 자판의 편의성을 쫒아 큐레이션 리모컨이나 tvG 4k 리모컨을 따로 구해 사용하는 분들이 계실 텐데, UHD3~4 셋톱박스에서는 버튼 매핑이 불완전합니다.





3. 요금과 정책

▪ UHD4도 대부분의 셋톱박스와 마찬가지로 매월 4,400원의 임대료가 지불됩니다.

LG유플러스 셋톱박스 임대료는 10여 년째 고정불변이네요.


▪ 약정기간은 3년이며, 의무적으로 장비를 임대해야 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의무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할 경우, 어마무시한 위약금과 조우하실 겁니다 💀💀💀


▪ 임대기간은 5년이며, 셋톱박스 임대료가 지불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즉, UHD4 셋톱박스를 청약하신 후 5년간(60개월)은 매월 4,400원을 지불하나, 그 이후에는 임대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UHD3의 임대기간인 3년에 비해 많이 부담스러워졌습니다...🥶





4. 발견된 문제들, 그리고 해결책


Q.1 : 홈 화면 상단에 <디즈니플러스> 바로가기 아이콘이 없어요!

A : 출고과정에서 앱 업데이트가 완료되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리모콘 상단의 <디즈니+> 파란색 단축키를 눌러주시면 곧바로 앱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완료와 동시에 바로가기 아이콘도 노출됩니다.



Q.2 : 돌비비전/애트모스 환경에서 간헐적인 프리징 현상이 발생해요!

A : 프리징 원인이 다양하겠지만, 高대역폭을 요구하는 돌비 시리즈 특성상.. 공유기가 원인(스펙, 상성, 설정, 배선)인 경우가 많습니다. 

모뎀(게이트웨이) ↔ 공유기  ↔ 셋톱박스 순의 연결상태를,  모뎀(게이트웨이) ↔ 셋톱박스 순으로 변경해보시겠습니까?



Q.3 : LG유플러스에서 임대해 준 공유기를 쓰고 있는데도 Q.2의 프리징 현상이 발생합니다!

A : LG 임대 공유기 중 (주)다보링크 Legacy 모델군에서 트래픽 버퍼링 이슈가 있습니다.

GAPD-7300 모델은 셋톱박스를 공유기 1번째 LAN포트에 체결해주시고, GAPD-7200 모델은 LG고객센터로 공유기 교체를 요청해주세요!



Q.4 : 저희집 TV수상기가 1080(FHD)급 이하라 트래픽/대역폭 문제가 없을 텐데도... 프리징 현상이 발생해요!

A: HDMI 케이블의 스펙 문제가 있거나, 셋톱박스 ↔ TV수상기 간의 화면 자동협상 실패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다른 HDMI 케이블을 체결해보시거나, 셋톱박스의 [설정] → [시스템 설정] → [디스플레이 모드] → Color Depth를 Auto에서 8 Bit로 변경해주세요.



Q.5 : 동영상 자막이 시꺼멓게(?) 나와서 하나도 안 읽혀요!!!

A: 돌비비전을 지원하는 특정 TV수상기 모델(출력장치)와 셋톱박스(입력장치) 상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셋톱박스의 [설정] → [시스템 설정] → [디스플레이 모드] → Dolby Vision Mode 를 Standard(표준)에서 Low-latency(저지연)으로 변경해주세요.



Q.6 : 뜬금없이 아래 이미지 같은 오류화면(?)이 나와요!

안드로이드 리커버리 화면.jpg


A: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먹통(?)이 될 때 송출되는 <복구 화면>을 목격하셨군요? (윈도우 운영체제의 블루스크린 같은 개념입니다)

리모콘의 [확인] 버튼을 눌러 Try again 메뉴를 선택해주시면 재부팅 후 정상 작동됩니다.



Q.7 : 분명히 예전에 "스파이더맨 홈커밍"을 구매했었는데, 해당 콘텐츠에 [구매 불가] 버튼만 나옵니다! 

A: 돌비비전을 지원하는 VOD를 구매하셨나봅니다. TV 수상기에서 돌비비전 /HDR을 활성화 하셔야 해당 VOD를 시청/구매할 수 있어요.

즉, 실제 구매 여부와 상관없이 콘텐츠 ↔ 수상기 모두 돌비비전을 지원할 때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Q.8 : 리모컨 버튼을 빠르게 여러번 클릭하면, 그 중 일부가 씹혀(?)요!

A: 리모컨 신호 처리가 일부 누락되는(씹히는) 현상은 리모컨 ↔ 셋톱박스 연결이 적외선(IR) 방식일 때 발현됩니다. 되도록이면 블루투스 연결을 추천드립니다. 

개선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긴 하나, 정확한 일정 기약이 없습니다 ㅠ



Q.9 : 시청했었던 VOD를 이어보려고 하는데, 마지막 시청시점으로 이동 안하고 무조건 처음시점부터 재생되네요??

A: UHD4 셋톱박스만의 종특(?)입니다. VOD 재생 시에는 추후 [이어보기] 상황을 상정하여 주기적인 진행시점 저장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루틴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올해 2월 내 개선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으니 아주 조금만 기다려주십시오 😫





4. 요약 및 총평


주요 장점 👍

- 현대 시대에 걸맞는 연산능력

- 안드로이드 원조 맛집

- 로열티 지불에 망설임 없는 용기

- 음질 향상을 위한 기똥찬 노력


주요 단점 👎

- 출시 초기에 걸맞은 자잘한 버그

- 돈 많이 썼다고 임대기간도 훅~ 늘려버림



종합적으로 10점 만점에 9점을 주고 싶습니다!

LG유플러스 고유의 매력을 계승하는 점, 

개방형 생태계를 지향하는 점, 

높은 수준의 QC를 통해 출시 초기 문제들을 자잘하고 성가신 수준으로 끝낸 점이 돋보입니다.



뽀로로 3살 평점.jpg

[ 9점이면 충분히 좋은 점수입니다 ]



만약 당신이 신규가입자라면 무조건 UHD4를 선택해야만 합니다!

행여나 UHD3를 원하신다 해도 청약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ㅎㅎ 

LG유플러스는 SK와 달리 소비자에게 구형 재고떨이를 하지 않는 노빠꾸 터프가이입니다.


만약 당신이 기존가입자라면 돌비비전/애트모스를 강력히 갈구하시는 게 아닌 이상 바꿀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UHD4로 변경해도 할인반환금(위약금)이 청구되지 않을 뿐더러, 셋톱박스 약정이 초기화 되는 일 없이 그대로 승계됩니다!

하지만 임대기간이 초기화 + 5년으로 늘어나는 단점이 너무 커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전체 댓글 186
  • 회원님의 사진 양궁도사
    LGU+는 3이건 4건 웨이브 안되는게 맞습니다
    방금 고객센터랑 통화했고요

    제가 3쓰고 있는데 4쓰면 웨이브 되는거냐고 물어봤는데
    SKT 독점으로 가지고있는 부분이라 업글해도 4400원만 더 낼뿐.. 웨이브는 안된다고 그냥 쓰라고 해서 알겠다고 하고 끊었습니다

    SKT는 웨이브 독점
    LGU+는 쿠팡플레이 독점이라고 고객센터에서 그러네요

    상담원도 웨이브 보고싶어서 그냥 TV를 스마트TV로 바꿨다 합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김가영
    @양궁도사양궁도사님, 안녕하세요? 백메가의 김가영입니다🙌

    오잉?! LG의 UHD3, UHD4 셋톱박스 모두
    웨이브(wave) 앱 사용이 불가다는 안내를 받으신 거지요?!

    그간 백메가에서 직접 확인한 결과
    두 개 셋톱박스 모두 웨이브 앱 사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마침 동료분이 따로 사용하는 셋톱박스가 "UHD4"로 확인되어
    재차 웨이브 앱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문제 없이 앱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미지 따로 첨부했어요!)

    다만, 웨이브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따로 구글 프레이 스토어 통해
    웨이브 앱 선택 또는 따로 검색하여 앱(어플) 설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기본 앱으로 탑재되어 있지 않거든요~?!

    하여, 지금 사용하고 계신 셋톱박스가 UHD3이라면
    똑같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 통해 웨이브 앱을 검색하여 확인해 주시겠어요?!🥲


    이와 별개로 SK는 웨이브 독점, LG는 쿠팡플레이 독점이라고 하셨는데..!
    LG가 쿠팡 플레이 독점이라고 해서 SK TV 셋톱박스 통해 쿠팡플레이 앱을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닙니다.
    따로 확인해보니 현행 셋톱박스 스마트3, AI4 모두 쿠팡 플레이 앱을 지원하고 있어요.

    상담원 안내는 어찌된 영문인지 알 수 없지만..!
    사용하고 계신 UHD3 셋톱박스로 체크해 주세요🙋‍♀️
  • 꿀팁게시판
  • 전체
  • 1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